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부터 단독보도로 이어가겠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당시 남북간 철도를 연결하겠다며 공동조사도 진행했었는데요. <br> <br>지금 와서 보니, 조사가 시작되기도 전에 철도 보수에 필요하다는 북한 요청으로 여러 물품을 지원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그런데, 그 물품들, 유엔이 북한에 보내지 말라고 금지한 물품들이었습니다. <br><br>최승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 (2018년 8.15 경축사)] <br>"철도와 도로의 연결은 한반도 공동번영의 시작입니다." <br> <br>2018년 남북 정상은 판문점 회담에서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을 약속합니다. <br> <br>그리고 7개월 뒤인 2018년 11월, 유엔 안보리 승인이 나오자 북측 지역 철도에 대한 남북 공동 조사가 시작됩니다. <br><br>이곳 서울역에서 출발한 공동조사 열차는 군사분계선을 넘어 사천강 교량을 건넜는데요. <br> <br>조사 3개월 전 우리 정부는 북한의 요청을 받고 사천강 교량 보수에 필요한 물품을 보냅니다.<br> <br>문제는 그 물품 중 북한에 보낼 수 없는 금수품이 포함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당시 목재류 침목과 레일 고무 패드, 나사 스파이크 등 7개 물품을 보냈는데, 그 중 5개가 유엔이 북한 이전을 금지한 철강 제품이었습니다. <br><br>유엔 안보리의 금수품 반출 승인 절차도 없었습니다. <br> <br>[유상범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문재인 정부에서 남북 협력을 위해서 지켜야 될 절차를 무시하고 진행하는 그 행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." <br> <br>통일부는 "금수품은 맞지만 우리 측 조사 인력의 안전을 위한 것"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최승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ichannela.com